요즘 금리는 점점 오르고 있는데 이 때문에 주택담보대출을 알아보고 계시는 분들에게는 아주 부담스러운 상황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.
경기가 어려워지니까 은행에서도 대출 자격을 더 꼼꼼히 따지기 시작한 듯한데요.
그래서 오늘은 은행별로 주택담보대출 금리 및 한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 5분만 투자하셔서 이 글을 읽어보신다면 충분한 가치를 가져가실 수 있을 거라고 확신합니다.
1 금융권 주택담보대출
주택담보대출 금리를 알아보신다면 우선적으로 1금융권 중심으로 알아봐야 합니다. 소득, 주택, 재직 이 3개를 갖췄다면 무난하게 대출을 받으실 수 있을 것입니다.
1 금융권의 주택담보대출은 당연히 금리가 저렴합니다. 최근 기준, 2.5% 이하의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적용받았다면 꽤 괜찮은 주택담보대출 금리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.
2 금융권 주택담보대출
2 금융권의 주택담보대출을 받는 경우에는 아무래도 1 금융권에 비해 금리가 많이 올라갑니다. 그래도 저축은행보다는 농협, 신협, 새마을금고 등이 상대적으로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저렴합니다.
보통은 3~4% 정도 사이에 금리가 결정된다고 보면 됩니다. 저축은행은 대략 5% 이상입니다. 여러분이 만약 5% 이상의 금리로 이자를 납부하게 된다면 원리금 상환에 많은 부담이 될 수밖에 없습니다.
주택담보대출 상환방법
주택담보대출을 받을 때 대출금을 상환하는 방식 두 가지에 대해서 얘기를 들을 겁니다. 하나는 원금 균등상환, 또 하나는 원리금 균등상환입니다. 이 둘의 차이는 무엇이고 대출받는 사람입장에서 어떤 것이 유리한지 아래에서 알아보겠습니다.
예를 들어서 3억 원의 금액을 30년, 2.3%의 금리로 상환한다고 보겠습니다. 원금균등상환의 총이자는 103,787,500원인데, 원리금균등상환은 115,585,393원입니다. 약 1,200만 원의 차이가 납니다.
원금균등상환은 말 그대로 원금을 균등하게 상환한다는 것인데요, 한 달에 원금은 딱 833,333원 상환하고 나머지 원금에 대한 이자를 상환하게 됩니다. 그래서 월 상환액이 원리금 상환금액보다 낮은 것입니다. 쉽게 말해, 원금을 많이 상환하기 때문에 원금에 대한 이자가 많이 줄어드는 방식이 바로 원금균등상환입니다.
주택담보대출 필수구비서류
1. 기본서류 - 신분증, 인감증명서, 인감도장, 주민등록 등초본, 국세 및 지방세 완납증명서
2. 재직서류 - 재직증명서,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, (사업자등록증)
3. 소득서류 - 소득원천징수영수증, 소득금액증명원, 건강보험납부내역서, 부가가치세표준증명원
4. 주택 관련서류 - 등기필증(집문서), 부동산계약서, 분양 시[분양계약서, 전입세대열람서]
5. 기타 서류 - 은행에서 원할 시[금융거래확인서 등등]
위 서류들을 모두 준비하시면 웬만한 상담은 무리 없이 다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.
'대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디딤돌 대출 신청자격 및 방법, 금리, 한도 등 알아보기 (0) | 2023.04.02 |
---|---|
특례보금자리론 신청방법 및 한도, 금리 안내 (0) | 2023.04.02 |
저소득 근로자 생활안정자금 대출 한도 및 신청방법 (0) | 2023.03.27 |
직장인 소액 대출, 정부지원 직장인 소액생계비 대출 (0) | 2023.03.06 |
모바일 신용 대출, 무직자도 가능한 곳 총 정리 (0) | 2023.03.05 |
댓글